블
안녕하세요, Jae Oh입니다.
자소서나 이력서 작성시
글자수세기 기능을 많이 사용해봤는데,
다양한 방법이 있다고 해서
소개하려고 합니다.
1. 네이버 글자수세기
초록창에서 ' 네이버 글자수세기', '글자수세기' 로 검색하면,
바로 아래와 같은 글자수세기가 나옵니다.
텍스트를 입력해주세요. 라고 적혀있는 곳에 커서를 누른 뒤,
작성해 놓은 글을 붙여넣기 하면
바로 공백포함, 공백제외 각 몇 글자인지 알려준답니다.
여기서 팁!
단축키 안내 버튼을 누르면 붙여넣기, 복사하기, 전체선택과 같은
간단한 단축키 안내를 하니
모르시는 분들은 참고하면 좋을 거 같아요.
2. 사림인
사람인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인데요.
저는 학착시절이나 직장인이 되서도 글 쓸일이 있으면 사람인 홈페이지에서
글자수세기와 맞춤법 검사를 많이 사용했답니다.
이 곳 역시 공백포함, 공백 제외 각 몇 자인지, 몇 바이트인지 알수 있는데요.
사람인만의 특별한 점은 바로 '전체복사'가 있다는 겁니다.
전체복사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뜨는데,
복사하기 원하는 곳에 커서를 누른 뒤 Ctrl + V 버튼을 누르면
따로 선택하고 복사하지 않아도 전체복사가 되서
긴 글 복사하려고 따로 노력하지 않아도 된답니다.
현재는 사람인과 비슷한
구인구직사이트인 인크루트에서도
글자 수 세기를 제공한다고 하니,
많이 사용하는 사이트에서 진행하면될 거 같습니다.
3. 한글
일반 회사하는 다르게
공공기관이나 공기업의 경우,
한글로 문서작업을 진행하는 일들이 많은데요.
글자수세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
파일 - 문서정보 - 문서 통계
(단축키 : Ctrl + Q + I)
임의로 글자를 작성한 뒤
단축키 실행을 해보았습니다^^
4. 엑셀
보통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
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는 엑셀입니다.
엑셀은 함수를 이용하여 글자수를 셀수있는데요.
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
SUM이나 IF와 같은 사용 빈도수가 높은 함수가 아니라서 모르신 분들이 꽤 계실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.
바로
함수 LEN사용하는 방법입니다.
=LEN()
텍스트 문자열 내의 문자 개수를 구합니다. 라고 나와있습니다.
글자수를 알고 싶은 칸을
함수입력 후 선택하면 그 칸에 적혀있는
글자의 수를 알수 있습니다.
사람인, 한글 등 글자수를 알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.
사람인이나 네이버와 같은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
회사에서는 보안 등의 문제로 일반 포털사이트나 웹사이트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,
위 방법대로 엑셀 또는 한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
글자수를 알아보는 방법이
더욱 유용하게 쓰일 거 같습니다.
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은 사이트를 이용하여 알아보는 것 보다
시간이 훨씬 덜 걸리니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니
일석이조겠지요^^
모두 하시는 일 잘 되세요~
댓글